정부에서는 청년들을 위해 시행하는 많은 정책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하고, 커다란 혜택을 주는 상품이 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 이 글을 통해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조건, 신청방법 등 모든 내용을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저축 및 재테크 수단에는 많은 것이 있습니다. 특히 저와 같이 청년분들의 경우 요즘 재테크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보통 재테크 수단으로 어떤 것을 이용하시나요? 주식, 코인, NFT 등 리스크가 있더라도 수익률이 높은 자산들에 투자하시는 경우가 많으실 겁니다.
예금이나 적금에 투자하시는 분들은 많이 없다고 생각을 하는데, 그 이유는 아마 낮은 수익률 때문일 겁니다.
하지만 여러분 생각해 보세요. 모아두신 자금이 별로 없는 청년들의 경우에는 공격적인 투자로 수익률을 쫓기보다는 차곡차곡 자산을 모으시는 게 우선입니다.
운이좋아 수익률이 두 배가 되더라도 몇백만원의 두 배면 그래도 몇백만 원입니다. 이것도 운이 매우 좋은 경우에만 해당하죠. 만약 자산 규모가 아직 크지 않으시다면 당연히 돈을 모으시는 선택을 하셔야 할 겁니다.
게다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내가 돈을 저축하는 만큼 나라에서 돈을 추가로 주기 때문에 예금의 낮은 수익률이라는 단점을 완벽하게 커버할 수 있습니다.
자산이 아직 적으신 분들은 필수적으로 신청해야 하고, 자산을 꽤 모으신 분들도 리스크 없이 추가로 돈을 저축할 수 있기 때문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청년분들이라면 누구나 신청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통해 청년내일저축계좌의 혜택은 물론 자격조건과 신청방법까지 총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
혜택은 복잡하지 않습니다. 내가 월 10만 원 이상 청년내일저축계좌에 저축하면 정부가 10만 원씩 추가로 저축해주는 형태입니다.
다만 3년 이상 매월 10만 원씩 저금을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매월 10만 원씩 3년을 저축하면, 내가 저축한 총 360만 원에 더해 정부에서 지원해 준 360만 원까지 총 720만 원에 더해 예금이자는 별도로 추가됩니다.
정리하자면 3년간 매월 10만 원씩만 저금하면 총 720+a만큼의 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저축하는 돈을 늘리면 추가적인 예금 이자와 함께 더 큰 돈을 모을 수도 있겠죠.
여기서 끝이 아니라 만약 본인이 차상위 계층이라면 매월 10만 원씩 추가되는 적립금이 30만 원이 됩니다.
다만 이 지원금은 적림금이기에 3년 동안 꾸준히 저축했을 시에 내 돈이 됩니다. 즉 첫 달에 10만 원을 저축해 생긴 추가 적립금 10만 원을 다음 달에 바로 사용하거나 하는 편법은 사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조건(지원대상)
자격조건은 차상위계층 이하와 그 외로 나누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차상위 계층, 기초생활수급자,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사람
- 나이 : 만 15세 ~ 만 39세
- 가구 소득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가구 재산 : 대도시(서울, 부산 등) : 3.5억 원 이하, 중소도시 : 2억 원 이하, 농어촌 : 1.7억 이하
- 소득 : 사업 혹은 근로 소득이 월 10만 원 이상 발생해야 함
그 외의 청년
- 나이 : 만 19세 ~ 만 34세
- 가구 소득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가구 재산 : 대도시(서울, 부산 등) : 3.5억 원 이하, 중소도시 : 2억 원 이하, 농어촌 : 1.7억 이하
- 소득 : 사업 혹은 근로 소득이 월 50만 원 초과, 220만 원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1. 방문 접수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2. 온라인 접수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상시로 모집하고 있지 않습니다. 올해는 5월부터 지원 예정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고민과 저축계획을 수립하신 이후에 복지로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지원하시면 됩니다.